고기압은 건강에 좋다?
관리* 조회1947 2005-03-25
고기압이란 공기의 밀도가 높다는 말이다. 밀도가 높다는 것은
생물체가 살기에 좋은 기상환경이라는 것을 뜻한다. 지구의 평
균 기압은 1기압, 즉 1,013헥토파스칼(hPa)인데, 기압이 높으
면 신체의 건강상태도 좋고, 낮으면 좋지 않다.
우리는 생활하는데 기압을 전혀 느끼지 못하므로 기압의 존재
를 의식하지 못하고 생활한다. 그러나 기압이 미치는 영향은 모
든 분야에서 대단히 크다.
높은 산에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 코피가 쏟아지거나 귀가 먹먹
해지고, 심지어는 고막이 파열되는 등 신체상의 이상이 나타난
다. 요리를 할 때에도 물이 100。C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기 때
문에 음식물이 작 익지 않는다.
경제적인 면에서도 갖가지 영향을 미친다. 저기압 하에서는 병
이 나기 쉽고 치료가 어려우므로 의료비의 지출이 많아지고, 비
행기는 출력이 약해져 승객과 화물을 많이 실을 수 없게된다.
기온이 1。C높아지면 승객 한 사람을 줄여야 한다. 1994년 여름
에 제주도에서 비행기가 착륙 지점을 수정하려고 다시 상승하다
가 울타리를 받아 떨어진 사고도 겨울이나 가을철이었다면, 고
기압 속에 산소가 많아서 연소가 잘 되어 그대로 빠르다 상승
할 수 있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대기의 공해가 심한 상태에서 기압이 낮으면, 자동차의 기름이
불완전 연소되어 공해 물질이 더 많이 배출되고 출력도 그만큼
떨어져 유류의 소비가 많아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저기압 속
에서는 사람의 신체가 풀어져 근육무력 상태가 되어 체내의 기
능이 왕성하지 못하지만, 고기압권 내에서는 신체가 약간 수축
하여 모든 기능이 원활해 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저기압은
사람의 몸을 나사 풀린 기계같이 덜컥거리게 하고, 고기압은 나
사를 잘 조여 기계가 아주 잘 돌아가듯이 인간의 신체에 활기
를 넣어 준다. 자동차나 기계 역시 같은 기름을 소비하면서도
저기압 내에서는 산소의 부족으로 연소가 왕성하지 못해 힘을
내지 못한다. 그래서 기계에서 같은 힘을 유지하려면 저기압권
내에서는 고기압권 내보다 더 많은 기름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기압이 문화를 좌우하는 것도 그냥 보아 넘길 수는 없다.
고위도에 위치한 유럽의 과학이 열대지방보다 훨씬 발전해 있
는 것도 기압의 차이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 같다. 추운 지방
은 기압이 높다. 높은 기압은 산소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뇌에
보다 많은 산소를 공급하므로 뇌의 활동이 왕성하여 고도의 문
화를 창출하게 하는 것이다. 한 통계에 따르면, 범죄에 있어서
도 폭동이나 폭력사태 등은 저기압 때 많이 나타나고, 지능범죄
는 고기압 때 많이 나타난다고 한다.
내용출처 -
http://www.jubu21.net/home/infochannel/con_content.asp?
con_sql=one_con&con_kind=15&no=3628&number_list=58&curpage=
3
관련주제가 없습니다.
1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바람이 부는 이유 (0) | 여수* | 2015-06-12 |
답변1개![]() |
붉은 눈(雪)과 검은 눈(雪)이란? (1) | 강지* | 2008-07-24 | 기다리는 중 |
적도 (1) | 김서* | 2017-10-03 |
답변2개![]() |
빙하 (1) | 안지* | 2011-03-03 |
답변2개![]() |
중력에 대해서.. (0) | 이주* | 2010-03-20 |
답변1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