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오로라는 열권에서만 생기나?
관리* 조회1702 2005-04-28
오로라는 북위 60도에서 80도에 위치한 지역(시베리아 북부, 알
래스카 중부, 캐나다 중 북부, 스칸디나비아 반도등)에서 볼수
있는 현상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태양에서 날아오는 전기를 띤 입자가 대기와 충
돌하여 생기는 황녹색 또는 청백색 커튼 모양의 찬란한 빛의 띠
를 오로라라고 해요.
오로라는 주로 밤이 긴 겨울철이나 태양의 흑점 활동이 활발할
때에 빈번하게 나타나요.
태양에서 날아오는 전기를 띤 입자는 '태양풍'이라고 하는데
이 '태양풍'이 대기와 충돌해 오로라가 생기는 거잖아요. 근데
좀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대기권 중 지구에서 가장 먼 '열
권'과 '태양풍'이 충돌하는 거랍니다.
오로라라는 명칭은요 1621년 프랑스의 과학자 피에르 가센디가
로마 신화에 나오는 여명의 신 '아우로라'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겁니다. 오로라의 공식 명칭은 오로라가 나타나는 장소에 따라
서 다른데요.
북반구에서 나타나는 오로라는 '오로라 보레알리스'이고 남반구
에서 나타나는 오로라는 '오로라 오스트랄리스'라고 합니다. 각
각 '여명을 닮은 북녘의 빛', '여명을 닮은 남녘의 빛'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답니다.
네이버 오픈사전 ejim314님의 글에서 발췌했습니다.
관련주제가 없습니다.
1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엘리뇨현상이 무엇인가요? (0) | 관리* | 2006-09-22 | 기다리는 중 |
지구자원 (0) | 과학상* | 2016-02-06 |
답변1개![]() |
밀물과 썰물은 왜 생기는 거죠? (1) | 관리* | 2004-05-20 | 기다리는 중 |
지구내부의 모양은 어떻게... (0) | 오수* | 2011-01-16 |
답변1개![]() |
금성은 비너스, 화성은 마르스...다른 행성들의 신화명이나 뜻을 알고 싶습니다. (1) | 관리* | 2004-04-13 | 기다리는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