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기, 키보드 왜 숫자 위치 다르지?
관리* 조회1615 2005-10-20
그 이유는 전화기 발달과정에 있어, 다이얼 방식의 기술적 특성
에서 유래합니다.
현재의 전화기는 버튼식 또는 톤(tone) 방식이라고 하여, 버튼
을 누를 때 다른 2종류의 주파수의 소리(tone)가 발생하여, 이
소리가 전화국에 전달되면 전화국 교환기에서 이 소리를 통해
몇 번 버튼을 눌렀는지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이에 반해 옛날 다이얼 방식 또는 펄스(pulse)방식의 전화기는
다이얼을 돌렸다가 놓으면, 스프링 장치에 의해 다이얼이 원위치
로 회전하면서 접점(switch)를 건드리게 되는데, 이 단속적 펄
스 신호의 개수를 교환기가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즉, '1'을 돌리면 가장 짧은 거리만큼 돌아가므로 1번의 펄스가
발생하고, '9'를 돌리면 9번의 펄스를 발생시킵니다. 그런
데 '0'의 경우 한 번도 펄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면 교환기는 인
식을 할 수가 없겠죠. 그래서 '0'의 경우는 10번의 펄스를 발생
시키도록 '9' 다음에 위치시켰습니다.
'0'이 '9' 다음에 있으면 원형 숫자판에서 가장 멀리 돌면서 10
번의 접점을 건드리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전화기에서
는 1-2-3-4-5-6-7-8-9-0 의 순서가 채택되었고, 이런 전통이 버
튼식 전화기로 넘어갈 때도 그대로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계산기나 컴퓨터의 경우는 이러한 제약이 없었으므
로 '0'이 '1'보다 앞에 오는 0-1-2-3-4-5-6-7-8-9 의 순서를 채
택했고 이 키를 배열하면 계산기(컴퓨터)의 키 배열과 같이 됩니
다.
그러나, 이렇게 전화기와 계산기(컴퓨터)의 키 배열이 다를 뿐
만 아니라, 같은 키보드 안에서도 순서가 통일되지 않은 것은 인
간의 인지기능에 혼란을 불러오기 때문에 인간공학을 고려하지
못한 디자인이라고 비판받습니다.
네이버지식 adwd 님의 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http://kin.naver.com/db/detail.php?
d1id=6&dir_id=601&eid=ShEtCNS7VzQhDgkg9rhXXnQqSJU757gv)
관련주제가 없습니다.
3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탄화된 곡식이 아직까지 남아 있는 이유는? (0) | 호기심지* | 2018-06-18 |
답변1개![]() |
고무는 어떤 물질로 이루어지나요? (0) | 신정* | 2015-06-30 |
답변3개![]() |
wlrn (0) | 정재* | 2012-04-25 | 기다리는 중 |
자유탐구보고서는 어떻게 쓰나요? (2) | 최다* | 2010-06-26 | 기다리는 중 |
몸은 왜 잘라요. (0) | 유가* | 2010-05-23 | 기다리는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