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이 신맛을 내는 이유
관리* 조회2263 2007-04-24
산성이기 때문에 꼭 신맛이 나는건 아닙니다.
신맛이 나는 이유는 카르복실산 그룹 COOH기를 가지고 있기 때
문입니다.
이러한 카르복실기는 전형적인 산성의 예일 뿐이지요.
HCl의 경우 산성이지만 신맛이 날까요?
물론 맛을 보면 안되겠지요?
사실 맛으로 산성과 염기성을 구분하는건 정확한 방법이 아니랍
니다.
맛으로 산성임을 구별하는 물질은 대부분은 우리가 평소 식생
활 속에서 먹는 음식들에 한에서 비교를 하는 것이지요.
특히 신맛이 나는 과일들의 경우 시트르산이란 물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카르복실산의 일종으로 대부분 신맛을 내
는 과일이 가지고 있는 성분이기에 신맛이 나는 물질을 보통 산
성이다라고 표현을 했던 것입니다.
즉 신맛이 나기에 산성인것이아니고.
산성 물질중 대표적인 것인 카르복실산이 포함된 경우 신맛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기에 신맛이 나는 것을 보통 산성이라고 표
현을 한것입니다.
출처: 지식올
관련주제가 없습니다.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냉장고의 원리 (1) | 김도* | 2012-07-22 |
답변1개![]() |
물이 든 종이컵은 왜 불에 안타나요? (9) | 강지* | 2008-12-19 | 기다리는 중 |
인(p) (0) | 김형* | 2016-06-30 |
답변2개![]() |
액체의증발에관한실험중질문이요 (0) | 장수* | 2009-08-04 |
답변1개![]() |
과학송 (0) | 도토* | 2015-12-25 |
답변1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