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불에 물을 부으면 불이 꺼지나요?
관리* 조회1997 2007-06-11
연소의 3가지 조건은 탈 수 있는 물질, 공기(산소)의 공급, 발
화점이상의 온도입니다. 즉 3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연소 즉
불이 붙을 수 있는 것이랍니다.
이를 반대로 해석하면 3가지 조건 중 어느 한가지 이상이 제거
되면 곧 연소가 되지 않는, 소화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장작불, 종이류 등에 불이 붙었을 경우 물을 뿌려 소화
가 되는 것은 물은 비열이 매우 큰 물질로 다량의 열에너지를
흡수합니다. 그러므로 물을 뿌려 발화점 이상의 온도를 낮춰주
게 되므로 소화가 됩니다.
한편 석유와 같은 기름등에 불이 붙었을 경우에는 유류 소화용
소화기나 천류를 덮어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한 방법이
겠지요!
소화의 예를 간단하게 알아보면
1. 연료의 차단
- 가스레인지의 밸브를 잠근다.
- 장작불의 장작을 빼낸다.
- 산불 진화시 맞불
2. 산소의 공급 차단
- 이산화탄소 분말 소화기
- 가스 폭발시 주변의 나무가지나 천이 있는 경우 불이 붙지 않
는 경우 순간적인 폭발로 주변의 산소의 고갈로 인해 더이상 불
이 번지지 않는 경우도 있답니다.
- 모래를 뿌린다. 등
3. 발화점이상의 온도
- 물을 뿌린다. 등
출처: 지식올
관련주제가 없습니다.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최초의 온도계 (0) | 강지* | 2009-06-22 |
답변1개![]() |
유기물과 무기물 (1) | 호기심지* | 2012-02-09 | 기다리는 중 |
지시약 (1) | 심재* | 2005-09-29 |
답변1개![]() |
액체형 손난로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0) | 호기심지* | 2011-05-04 |
답변1개![]() |
분자성질은 원자 성질의 합일까? (0) | 호기심지* | 2018-03-09 |
답변1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