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국과학
정재* 조회1176 2007-10-03
지구는 어떻게 해서 생겨졌나요;
RE:지국과학
(1) 약 46억년전, 빛을 내는 태양의 주변은 가스나 먼지가 원반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었다. 마침내 이 가스
의 먼지 층이 분열하여 10조 개 정도의 미행성이 태어 았다고 생각된다. 현재의 지구궤도 부근에서는 지름
이 약 10km, 무게 약 1조 톤의 미행성이 100억 개 정도 존재하였다고 추전되고 있다.
미 행성은 충돌과 합체를 되플이 하여 조금씩 성장해 간다. 그리고 크기가 언, 정도에까지 이르면 그 성장은
가속도적으로 빨라진다. 중력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많은 미행성을 끌어 당기고 충돌에 의하여 흩어지는 파
편도 흡수해 나갔다. 현재의 절반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원시 지구에는 1년 동안에 평균 1000개 이상의 미행
성이 충돌하였다고 생각된다.
(2) 미행성은 초속 수 km에서 십수 km 정도의 놀라운 속도로 원시 지구와 충돌한다. 미행성이 충돌한 지점
은 1만 6000k정도의 초고온이 된다. 미행성이나 원시 지구의 물질은 녹거나 증발하거나 하였다. 물질이 녹음
으로써 밀도가 높은 금속철 성분은 원시 지구의 중심으로 침강하게 되고 핵이 형성되었다. 즐발한 가스는 두
꺼운 대기를 만들어 나갔다. 원시 지구 대기의 80%는 수증기, 나머지는 일산화탄소와 질소로 이루어져 있었
다고 생각된다.
만일 대기가 없다면 충돌에 의한 열에너지는 곧바로 우주 공간으로 도망쳐 버린다. 그러나 강력한 온실 효과
를 가진 수증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지구의 원시 대기는 열을 지표 부근에 거둬 나갔다. 마침내 암석이 녹기
시작하는 1500k를 넘자 마그마의 바다가 퍼져 나갔다.
(3) 달은 반지름이 지구의 약 27%인데, 이는 태양계의 다른 위성에 비하여 매우 크다. 달의 기원은 아직도 수
수께끼이지만, 최근에는 '거대 충돌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지구가 형성되고 얼마 지나지 않을 무렵, 화성
크기의 천체가 얕은 각도로 충돌하여 달이 생겼다는 것이다. 화성의 반지름은 지구의 약 절반이다. 충돌로
지구의 일부가 부서지고, 충돌한 천체는 산산조각이 나고 그 파편이 지구 주위에 흩어졌다. 그 파편이 다시
모여 달이 생겼다고 생각하고 있다. 거대 충돌설은 달의 암석의 화학 조성의 특징을 잘 설명할 수 있다.
(4) 원시 지구가 성장함에 따라 미행성의 충돌횠수는 점점 감소되어 았다. 마그마의 바다 위에 얇은 껍데기
처럼 원시 지각이 만들어졌다. 그와 동시에 대기에 포함되어 있던 대량의 수증기가 쿤비가 되어 지표로 내
리 쏟아지고 바다가 형성되었다.
대기의 최상부에서는, 태양에서 내리 쬐는 강한 자외선으로 수증기는 자꾸만 산소와 수소로 분해된다. 그러
면 가벼운 수소의 대부분은 우주 공간으로 흩어져 버린다. 다행히도 지구에서는 수증기가 모조리 다 분해되
기 전에 지표가 식고 비가 내려 바다가 생긴 것이다.
지금까지의 것들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그림참고: http://my.dreamwiz.com/sunghundai/Themepark/earth/earth_frame.htm )
(가) 원시 지구는 성간운에서 만들어진 미행성체가 서로 충돌하여 형성되는데, 전체적으로 고온일 것으로 생
각된다. 주위에 대량의 기체가 둘러싸고 있었기 때문에 이 기체의 온실 효과에 의해 고온이 유지되었다.
(나) 이에 따라 원시 지구를 구성하던 물질이 녹아서 무거운 원소인 철이나 니켈 등은 중심부에 가라앉아 핵
을 만들고, 가벼운 원소들은 위에 떠서 규산염이나 산화물로 된 맨틀을 형성하였다
(다) 그후 상부 맨틀에서 부분 용융이 일어나 마그마가 발생하고, 이것이 지구 표면에 분출하여 가벼운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규산염 광물로 된 지각을 만들게 되었다.
(라) 핵과 맨틀 및 지각으로 분화된 지구가 형성되면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던 기체는 달아나 버렸으며, 화
산 활동에 의해 분출된 마그마에 녹아 있던 기체로부터 원시 대기가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마) 지구는 점점 식어가고, 수증기가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대기 중의 산소가 증가했다. 또한 수증기는 액
화되어 강수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지구 표면의 분지와 같은 낮은 곳에 물이 고이게 되었다.
(바) 이에 따라 원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바다로 녹아 들어가고, 이것이 바다 속에서 칼슘 이온과 반응하
여 석회암으로 침전하면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원시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의 감소로 지구 표면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온실 효과가 나타나게 되었으며, 생물이 발생 생존
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출처: 사이언스 올
원본 본문:
지구는 어떻게 해서 생겨졌나요;
관련주제가 없습니다.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질문 (0) | 김예* | 2014-07-13 |
답변3개![]() |
은하수란? (1) | 금재* | 2015-12-06 |
답변1개![]() |
포탄 (0) | 홍재* | 2013-11-01 | 기다리는 중 |
블랙홀의 중력 (2) | 유태* | 2014-08-18 |
답변1개![]() |
우주비행사의 조건은 무엇이 있을까? (0) | 이가* | 2008-02-26 | 기다리는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