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일반
김민* 조회869 2007-12-19
물체가 비치지 않았던 웅덩이에 동을 던지면 왜 갑자기 물체가 보이는 것일까?
RE:과학일반
아주 맑고 깨끗한 물을 명경지수(明鏡止水)라고 합니다. 거울과 같이 맑다는 뜻이지요.
맑은 물은 거울과도 같이 물위의 세상을 그대로 비춰줍니다. 물체로부터 출발한
빛이 수면에 부딪힌 다음 눈으로 오기 때문에 우리는 물 안에 또 다른 세상이 있는 것처럼 느끼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는 것도 물체로부터 사방으로 반사된 빛 중 일부가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거울과 같이 매끄러운 면에서는 빛이 어느 한 방향으로 반사하지만 대부분의 물체와 같이
표면이 울퉁불퉁한 면에서는 빛이 모든 방향으로 반사합니다.
매끄러운 면에서 어느 한 쪽으로 일정하게 반사하는 것을 정반사라고 하며,
울퉁불퉁한 면에서 모든 곳으로 다 반사 하는 것을 난반사라고 합니다. 물체 면에서 빛이 난반사를
하기 때문에 우리는 가려지지 않는다면 모든 방향에서 물체를 볼 수 있습니다.
반사의 법칙 ⇒ 입사각 = 반사각
입사각 : 거울 면에 들어오는 빛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
반사각 : 거울에서 반사하는 빛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
각도기를 가지고 빛이 거울에 올 때와 거울에서 반사할 때,
거울과 이루는 각을 재 봅시다. 두꺼운 종이로 좁은 틈을 만들고 햇빛이
통과하여 거울에 닿게 합니다. 그런 다음, 빛이 닿는 거울 면에 수직선을
그리고 들어오는 빛과 반사하는 빛이 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을 잽니다.
두 각이 서로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www.ajummaschool.com
원본 본문:
물체가 비치지 않았던 웅덩이에 동을 던지면 왜 갑자기 물체가 보이는 것일까?
관련주제가 없습니다.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왜 뭉게지고 상처가 난 딸기가 더 달죠? (4) | 관리* | 2004-04-13 | 기다리는 중 |
점에 난 털은 왜 길까? (1) | 관리* | 2006-09-11 | 기다리는 중 |
현미경 사용법 (0) | 이유* | 2009-02-01 |
답변1개![]() |
감기, 독감, 조류독감의 차이 (0) | 관리* | 2007-05-16 | 기다리는 중 |
옛날에는 왜 빨래를 방망이로 두들겨서 빨았어요? (0) | 강지* | 2010-05-25 |
답변1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