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찡그리면 왜 잘 보일까?
강지* 조회1371 2008-01-21
작은 구멍으로 무엇을 보게 될 때, 심한 근시안이 아닌 경우, 0.6정도까지는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핀홀 영향이라 합니다.
이는 수정체나 각막에 의한 것이 아니라, 애초에 각막을 투과하는 상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망막에서 상의 번짐을 애초에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근시의 경우
망막에서 실체의 물건보다 상이 더 크게 맺힙니다.
이는 각막이나 안구 전체 메커니즘에 의해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실제보다 상이 더 크게 번져 맺히는 것이죠.
그런데 핀홀을 통해 볼 때, 눈 자체 굴절력은 변화가 없지만, 눈으로 들어가는 상의 크기를 작게 만들어서 번
짐 현상을 애초에 막는 것입니다.
눈을 찡그리자 않고, 눈꺼풀을 눌러서 좌우로 벌려고 한 쪽 면의 글자가 선명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같은 이치입니다.
아니면 종이에 바늘로 구멍을 내고 그것으로 물건을 보면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중등도 이상의 근시안의 경우, 찡그리는 것보다 이것으로 보면 더 잘 보이죠.
동공 크기가 보통 때에는 낮에는 2-4mm정도이고, 밤에는 거의 8mm이상 커집니다.
그런데 1mm 미만의 작은 구멍으로 보게 될 때, 애초에 동공을 통과하는 상의 각도가 미세해지기 때문에 망
막에서 상이 맺힐 때 번짐 현상이 줄어들게 되지요.
출처: 엠파스 지식
관련주제가 없습니다.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왜 여자가 화장실을 더 자주 갈까요? (10) | 강지* | 2009-01-13 | 기다리는 중 |
집에서 볼 수 있는 맹독성 관상식물 (0) | 강지* | 2008-01-24 | 기다리는 중 |
사람이 죽으면 왜 뼈만 남나요? (0) | 호기심지* | 2015-09-25 |
답변1개![]() |
모성애/부성애가 강한 물고기가 있다? (0) | 호기심지* | 2012-07-11 | 기다리는 중 |
여우처럼 생긴 박쥐가 있다고요? (0) | 호기심지* | 2013-02-13 | 기다리는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