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는 어떤때에 가장 잘 일어나나요?
이한* 조회1660 2013-04-13
정전기가 어떨때에 가장 잘일어나나요?
정전기는 어떤때에 가장 잘 일어나나요?
정전기가 어떨때에 가장 잘일어나나요?
--------------------------------------------------------------------------------------------
정전기는 전하가 정지 상태로 있어 전하의 분포가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전기를 말합니다
정전기는 물체가 마찰했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양털로 물체를 문지르면 정전기가 생기지요. 이를 마찰전기라고도 합니다. 정전기는 전기가 통하는 물체가 닿으면 순간적으로 방전되어 전기적 충격을 받을 수 있는데 그것이 따끔한 느낌입니다.
정전기는 습기가 있는 날보다는 건조한 날에 주로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전기를 흡수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잘 안 일어나는 것입니다. 정전기는 겨울에 많이 발생하는데 그 이유도 겨울은 공기가 건조하기 때문입니다.
마찰된 물체는 -극과 +극으로 대전되어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으면 수증기가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전기적 중성 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습도가 60% 이상이면 정전기가 사라지지만 습도가 30% 이하면 정전기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 쌓여서 정전기가 잘 일어납니다.
<생활 속의 정전기>
습도가 낮은 건조한 겨울철에 털이 많은 스웨터를 벗다가 따끔한 정전기를 느낀 경험이 있을 것있겁니다.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던 자동차에 불이 붙는 일이나 금속으로 된 문고리를 잡다가 전기가 통한 일 등도 모두 정전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처럼 습도가 매우 낮은 날에 스웨터를 벗을 때나 털 카펫 위를 걸을 때 수만 볼트 의 정전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전기는 전압만 높을 뿐 전류는 아주 짧은 순간에만 흐르기 때문에 정전기로 인해 큰 부상을 입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정전기의 방지>
방 안에서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천연 소재로 만들어진 카펫을 사용하고 문의 금속 손잡이에 천연 섬유를 씌워 두어야 합니다. 또한 컴퓨터에 정전기가 흐르면 내부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케이스와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나사가 접지 역할을 해 정전기를 방지합니다. 그리고 금속 물체를 바로 잡지 말고 물체에 손을 살짝 대어 정전기를 방전시킨 다음, 물체를 잡으면 정전기의 피해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개 (0) | 최소* | 2010-05-04 | 기다리는 중 |
버스현금통이 현금을 인식하는 원리는? (0) | 권수* | 2018-02-08 |
답변1개![]() |
과자를 포장할 때 질소충전을 하는 이유는? (0) | 호기심지* | 2018-07-03 |
답변1개![]() |
만병의 근원 스트레스, 치매와 연관있을까? (0) | 호기심지* | 2019-10-02 |
답변1개![]() |
피부가 건조한 겨울, 헐렁하게 입어야 한다? (0) | 호기심지* | 2019-12-03 |
답변1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