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있을 땐 왜 시간이 빨리가는 걸까?
호기심지* 조회486 2018-06-12
재미 있을 땐 왜 시간이 빨리가는 걸까?
사람들은 재미있는 일을 하면 시간이 빨리간다고, 재미없는 일을 하면 시간이 늦게간다고 느낍니다. 그 이유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프랑스 연구팀이 '사이언스'지에 발표했는데, 이는 시간을 측정하는 뇌 부위와 동작을 명령하는 뇌 부위가 일정부분 중복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연구팀의 조사 결과, 시간을 판별할 때는 대뇌 피질의 앞부분의 활동이 왕성해지고, 다른 작업을 할 때는 이 부분의 활동이 줄어들면서 다른 뇌 부위의 활동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는데요. 뇌의 정보처리용량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 부위의 활동이 증가하면 다른 부위의 활동은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이 자신에게 재미있는 일을 하게 되면 그 동작 자체에 뇌 용량의 대부분을 사용하기 되고, 반대로 시간을 판별하는 뇌 부위의 활동은 줄어들어 시간에 대한 인식이 떨어져서 마치 시간이 빨리가는 것처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관련주제가 없습니다.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메니아세상에서 궁금한것들 (2) | 송서* | 2010-08-25 | 기다리는 중 |
인간의 뇌가 불평등에 반응할까요? (1) | 호기심지* | 2019-01-02 |
답변1개![]() |
종두법이 뭐예요? (0) | 김영* | 2010-05-22 |
답변1개![]() |
삼겹살! 정말 황사에 좋은가요? (0) | 호기심지* | 2012-10-19 | 기다리는 중 |
폴터가이스란? (1) | 김우* | 2010-05-06 | 기다리는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