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292.
세계 최초의 온실은 바로 조선!!
(1)
조회 :48 등록일 : 2018.04.23
-
조선시대에도 온실이 있었을까? 세계 최초의 온실로 알려져 있는 독일의 온실이 1619년에 지어졌다던데……. 그런데 2001년 발견된 『산가요록(山家要錄)』이란 책이 그 해답을 안겨...
-
|
|
 |
- 1291.
자연에서 얻은 색소 - 천연염료
(1)
조회 :39 등록일 : 2018.04.23
-
인류가 색을 이용한 것은 아주 오래다. 고대 유적지를 살펴 보면 인류의 역사가시작 될 때부터 색을 이용한 것을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프랑스 도르도뉴현에 있는 라스코 동굴벽...
-
|
|
 |
- 1290.
우울증은 마음 먹기 나름이라구?
(1)
조회 :43 등록일 : 2018.04.23
-
우울증에 대해 사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마음의 감기로 불리는 우울증. 누구나 쉽게 걸릴 수 있고, 명확한 발병 원인을 알지 못하는 감기 같은 병이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
-
|
|
 |
- 1289.
문신은 왜 지워지지 않을까?
(0)
조회 :46 등록일 : 2018.04.23
-
수렵채집부족이나 지하세계 사람들만이 문신을 한다는 건 옛말이다. 요즘 젊은이에게 문신은 패션이다. 미국에서는 성인 5명 중 1명이 하나 이상의 문신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
-
|
|
 |
- 1288.
봄의 활력은 산채의 제왕 두릅으로!
(0)
조회 :56 등록일 : 2018.04.23
-
두릅은 이름만 들어도 입속에 향기가 돈다. 아마도 먹고 나면 하루쯤은 그 향기로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두릅의 향은 우리에게 봄을 선사한다. 길고 긴 겨울을 보내고 나면 우...
-
|
|
 |
- 1287.
하늘에서 유적을 찾다! - 항공고고학
(1)
조회 :56 등록일 : 2018.04.16
-
고고학도 이제는 땅을 파지 않고도 유적을 찾아낸다. 몇 년 전 일본에서는 ‘자력계측기(Magnetometer)’라는 장비를 이용해서 예전 같으면 수십 년간 발굴 작업을 거쳐야 겨우...
-
|
|
 |
- 1286.
칼로 물베기? 물로 칼베기?
(1)
조회 :68 등록일 : 2018.04.16
-
‘물로 칼을 벤다’라는 말은 실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이 물칼(Water Knife)을 이용해 종이, 원단, 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단단한 돌도, 또한 쇠도 자른다고 하니, 물로...
-
|
|
 |
- 1285.
앗! 식물에도 카메라의 조리개가 달려...
(1)
조회 :71 등록일 : 2018.04.16
-
식물도 사람의 홍채나 카메라의 조리개와 같은 기능을 하는 물질을 가지고 있다. 바로 ‘피토크롬(Phytochrome)’이란 ‘청록색 색소 단백질’이 그런 역할을 한다. 1952년 ...
-
|
|
 |
- 1284.
영화적 상상을 현실로, 소재로 여는 ...
(1)
조회 :94 등록일 : 2018.04.16
-
과학기술이 점차 발전하면서 영화 같은 일이 실현되는 속도도 빨라졌다. 눈 깜짝하면 최신 기술이 쏟아진다. 이는 산업에 응용돼 개인의 삶 속으로 파고든다. 이때 그 기술을 뒷받침하는...
-
|
|
 |
- 1283.
심해생물의 특별한 짝짓기
(1)
조회 :71 등록일 : 2018.04.16
-
2018년 3월, 처음으로 심해아귀가 짝짓기하는 영상이 촬영돼 화제가 됐다. 심해는 지상과는 환경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우리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기상천외한 짝짓기가 벌어진...
-
|